주식을 하다보면 공매도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그토록 싫어할까 간단히 정리하자면 공매도는 하락할 때 돈을 벌 수 있는 것이다. 주식을 미리 빌린 다음 돈을 갚는 형식이라 하락장에서 주로 외인, 기관이 공매도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1만 원짜리 주식이 있다. 근데 하락을 할 거 같아서 주식을 미리 빌린다. 그리고 주가가 5천 원으로 내려간다. 그러면 나는 그 주식을 5천원에 갚을 수 있는 셈이다. 공매도는 무엇을 위해 존재할까? 공매도의 효과는 이렇다. 어떤 주식이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고 유동성을 높인다. 개인투자자 입장에선 "아니, 오르면 좋은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과도하게 올랐을 때 역효과가 무엇인가. 바로 하락할 때의 속도이다. ..
미국의 금리 인상에 달러가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간 기준 1426.50원까지 올랐다. 달러 환율은 급상승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목적으로 통화량을 줄여 달러의 가치가 높아진 탓이다. 우크라이나 전쟁도 환율의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달러가 오르면 국내 주식은 어떻게 될까? 다른 복잡한 요소는 제쳐두고 간단하게 생각해보겠다. 달러가 오르면 미국인들은 당연히 자국 돈의 가치가 상승한다. 그렇다면 한국에 투자한 돈을 회수하면 돈을 버는 것 아니겠는가? 외인을 미국인으로만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외국인(미국)이 1만 원짜리 주식을 100만 원치 샀다. 1달러의 환율은 1300원. 수익률은 0%이다. 미국에서 금리를 인상시킨다는 말이 나온다. 그리고 환율이 급상승한다. 1달러의..
주식을 잘하는 법을 많이들 궁금해한다. 주식을 하면서 돈을 잃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실력을 늘릴 수 있을까? 우선 본인의 스타일부터 알아야 한다. 주식에는 크게 단타와 장기투자가 있다. 매매 스타일이 여기서 갈라진다고 보면 된다. 물론 둘 다 하는 고수분들도 있고 자신과 맞지 않아도 한 스타일만 고집하는 사람도 있지만 둘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보자면 당연히 기간의 차이다. 짧게 종목을 보유할 것인가, 길게 종목을 보유할 것인가. 내 임의로 단타는 데이트레이딩까지로 분류하도록 하겠다. 하루 안에 본인이 수익을 내고 싶거나 초 단위로 몇 틱의 수익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매매를 스캘핑이라고 한다. 스캘핑의 고수들은 매매를 어떻게 할까? 우선 기본적인 틀은 비슷하다. 오늘 오를 종..
국내외 주식에 주목받고 있는 테마가 있다. 2차전지 폐배터리 관련 주이다. 미래 유망 산업인 전기차 산업의 수요가 상승하면서 2차 전지 시장도 역시 같이 커질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금양은 1955년 설립된 기업으로 친환경 발포제 사업으로 역량을 키워 2차전지, 수소차, 선박 등의 다양한 사업으로 발전시킨 회사이다. 금양은 발포제 사업으로 유명한데 발포제란 화학물질로 고무나 플라스틱에 구조를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이라한다. 금양이 급상승을 하게된건 2차전지 사업으로 원통형 전지를 만들어내면서부터다. 개발에 성공했다는 뉴스가 나오자마자 5배나 상승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산업이기 때문에 주가가 그만큼의 기대감을 받은 것이다. 금양의 전망은 어떨까? 주가는 항상 선반영되기 때문에 이미 많은 상승..
대한민국 양대 플랫폼 주식인 카카오와 네이버. 경기 침체 우려에 두 주식 모두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카카오는 반등을 하여 2.15% 오른 5만 7100원에 장을 마쳤다. 카카오의 주가는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약 20%나 폭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장의 힘이 너무 강하다. 미국은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하고, 주식 시장이 안정되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 카카오의 주가와 전망을 이야기하고 싶지만 장이 회복될 때까진 확실한 상승을 보긴 어렵다. 개인 투자자들은 9월 한 달간 1898억 원을 사들이고 있다. 장기적인 주가를 보고 사모으고 있다는 얘기이다. 아직 카카오에 대한 믿음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배당금은 얼마일까? 카카오는 배당수익률이 0.09%, 주당 배당금이 53원으로 ..
배추 가격이 배추 수급 악화에 품귀 현상을 보인다. 국내 배추 김치 1위 브랜드인 종갓집 김치는 10% 가까운 가격 인상을 보였다. 9월 30일 기준 배추 도매가격은 얼마일까? 배추 10KG의 도매가격은 2만 3천740원이다. 10일 전인 9월 20일 경보다 약 1만 원 정도가 내렸다. 1년 전 이맘때쯤은 어땠을까? 반도 안 되는 가격인 1만 494 원이었다. 올해는 물가도 오르고 농산물도 수확이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모든 게 오르는 것 같다. 다행히도 이번 달 가을배추를 수확한다면 배추 값이 조금 내려갈 전망이라고 한다. 10월 중순, 배추를 수확하기 시작하면 수급이 늘어나 가격이 안정화된다고 보고 있다. 배추 수급 문제에 일찍 배추를 출하시키다가 품질에 문제가 있기도 하다. 그래서 중국산 김치가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