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증권사 선택은 매우 중요한 결정일 것입니다. 많은 정보와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기에, 이를 쉽게 정리하고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1. 증권사 주식계좌 추천 세 곳 1. 키움증권 키움증권은 온라인 증권사로서의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업계 최저 수준의 거래 수수료율 0.015%을 제공하며, 높은 레버리지 비율도 강점으로 꼽힙니다. HTS, MT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거래를 많이 하다 보면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저도 키움 증권을 활용하고 있고 키움으로 주식을 하는 분들도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증권은 국내 최대 증권사로, 깔끔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해외 주식 투..
주식을 하려면 뉴스를 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라는 소리가 있다. 왜 뉴스를 봐야 한다는 것일까?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목차 기업 소식 업데이트 주식을 할 때 뉴스를 보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기업의 다양한 소식들이 올라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외국인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혹은 A그룹이 B그룹과 인수합병을 결정했다 등. 뉴스를 꼼꼼히 보면 이런 소식들을 캐치할 수 있다. 굳이 자세한 내용을 보지 않더라도 제목만 훑어보고 주목받는 산업이 어떤 분야구나 생각할 수 있다. 테마주 예측 뉴스를 보고 주목받는 산업을 예측할 수 있다. 사실 뉴스가 나오지 않은 미래를 예측할 순 없지만 설탕이 부족하다~, 이런 내용이 나오면 설탕주가 오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단순하게 1차원적으..
23년 6월 22일 주식 매매일지 정리 우선 KBI메탈만 매수하기엔 기다리는게 너무 심심해서 돈을 더 넣어서 다른 종목 매수를 잔행하였다. 희림의 경우 내 관점 상 바닥을 다지고 있는 것 같아서 매수를 진행을 했다. 매도 기준을 이평선 상단 부근으로 잡고 진입을 했는데 살짝 올라가나 싶다가 다시 주저앉았다. 다음주까지 추이를 봐야할듯KBI메탈은 탈출을 못한 것이 큰 치명상으로 돌아왔다. 점점 낙하하는 밧줄이라 이거 원.. 이평선 근처에서 추가 매수를 들어갈지 말지 생각을 해봐야겠다. 주식 시장 전반적으로는 거래량도 돌아가고 지수도 나쁘지않게 가는 것 같다. 내 종목은 안오르는게 문제.. 주식 시장에서 돈을 버는 것이 참 쉽지않다는 것을 매번 깨닫는다. 욕심을 버리고 매매해야한다는 것을 알지만 요새는 많은..
많은 분들이 주식을 하거나, 또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어본 단어인 '공매도'. 오늘은 이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면서 이게 꼭 필요한 제도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공매도, 꼭 필요한 제도인가 공매도 용어 뜻 우선 공매도가 꼭 필요한지를 따지기 위해서는 공매도의 개념을 먼저 알아야겠죠? 공매도는 주식이 하락할 것을 예측하여 먼저 주식을 매도한 다음 주식이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제도이다. 주식을 미리 팔고 싼값일 때 다시 돌려줘서 싸질수록 이득을 얻는 구조인 것이다. 공매도는 누가 할 수 있나? 공매도는 기관과 외국인, 개인이 모두 할 수 있는 거래이다. 하지만 개인이 공매도라는 제도를 활용할 경우 금융 교육을 들어야 가능하다. 약 2시간의 교육을 받으면 공매도를 할 수 있으며 미..
주식 매매를 할 때 풀매수를 하면 왜 상황이 어려워지는지 알아봅시다. 목차 주식 매매 풀매수 단점 평단가를 높게 물릴 수 있다. 주식을 하다가 다들 물려본 경험은 한 두번이 아닐 것이다. 단타를 하려는 생각일 수도 있고 이 종목에 확신을 갖고 장투를 하기 위해 풀매수를 들어갈 수도 있는데 이때 가격이 오르면 당연히 100%가 들어갔기에 수익금을 높게 뽑을 수 있겠지만 손실도 크게 난다는 단점이 있다. 주식은 장점을 극대화하면 좋겠지만 단점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그래서 높은 평단가에 물리는 수가 읶기 때문에 100% 풀매수를 하는건 비추천한다. 베팅 규모를 줄여야 심리가 안정된다. 풀매수는 또 심리적으로 굉장한 압박을 줄 수 있다. 풀매수를 하게 되면 현금 비중을 보유했을 때보다 확실하게 여유가 줄어들..
한때 영화계에 CGV를 빼놓으면 영화관이 없을 정도로 유명했던 회사. 요새 주가는 계속 빠지고 있는데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보았다.CGV 주가 흐름 cgv는 10년대 중반 12만 원대의 주가를 기록한 적이 있을 정도로 굉장히 큰 주식이었다. 하지만 고점을 찍고 점점 추락하기 시작하여 현재가는 1만 4천 380원을 기록했는데 지금은 바닥권에 머물러 바닥을 다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트 상으로도 힘이 실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반전을 꿰하긴 어려운 상황처럼 보인다.영화 산업의 부진 최근 티켓값을 거의 1만 5천 원 선까지 올리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영화를 외면했다. 영화 산업의 부진에는 OTT의 다양화가 있다. OTT에서 자체로 콘텐츠 제작도 들어가고 이미 개봉했던 영화들도 ..